엔디미온 요번주 (18일) 새롭게 정발한 스트 R
이 덱에 관심이 많은 사람들이 많아서 글을 한번 적어봄
내가 겜 잘알이 아니지만 일단 쓸데없이 연구를 열심히 해봤고 글적는 사람이 나뿐이더라 그래서 한번 적어봄
하지만 이 글은 기초적인 구축하는법에 대한 설명이지 이렇게 덱을 짜라는 아니니 알아둬야합니다.
엔디미온의 장점
1.돌파력
창성마도왕 엔디미온, 매직비스트 마스터 케로베로스 때문에 엄청난 후공 돌파력이 있다.
2.상대 덱에 따른 억제력
마력 카운터가 나뿐만이 아니라 상대 또한 효과에 적용범위기 때문에 상대가 마법카드를 많이 사용할수록 아주 잘오르며 덱자체의 힘이 더욱더 올라간다.
3.미친듯한 서치와 특
덱특소, 패특소, 엑덱 앞면특소, (엔디미온) 서치, 그냥 마법 카드 서치 등 서치에 범용이 넓다.
4.시대에 안맞는 필드 마법 내성
마법도시 엔디미온 마력카운터가 존재하는한 파괴될때마다 1개씩 제거하는것으로 자신이 파괴되는것을 막을수있다.
5. 메인 초융합 가능
엑스트라 덱이 널널하고 메인조차 널널하고 초융합을 메인에 투입해도 된다.
6.일반소환이 남아돈다
펜소 특소 위주라 일소권이 남는다.
엔디미온의 단점
1.패말림
펜듈럼 테마의 단점이자 마력 카운터 테마라는 문제가 겹친다. 마법만 잡혀도 전개가 안되고 몬스터만 잡혀도 전개가 안된다.
2.마력 카운터가 없으면 잉여
카드 자체가 억제력이 존재하려면 마력카운터라는 소재가 필요하다 아무리 화려하게 전개하면 무엇을 하겠는가 마력카운터가 없어서 그냥 바닐라 몬스터로 존재하고 있는다.
3.미친듯한 필드마법 의존도
마법도시 엔디미온 자신도 마력카운터를 쌓을수있고 자신의 마력카운터를 사용하게 할수있는 필드마법
또한 창성마도왕 엔디미온이 펜듈럼 존에서 특수소환 하기위해서는 마력카운터 6개가 필요하다 하지만 자신은 마력카운터를 만들수가없어 6개라는 소재가 생각보다 무겁게 느껴진다.
4.함떡에 약함
마력카운터 덱인데 일단 함정계열에 좀 약한 모습을 보여주긴함
기초적인 덱구축 비율
계속 일본 여러 레시피와 내가 몇번 굴려보면서 대략적인 공통점 위주
가장 중요한 3장씩 투입하는 카드는 창성마도왕과 서번트
매지스터와 임프레스는 특소하는 범위에 한계로 각 2장씩 필드 마법은 2장 자체적으로 터지지 않기 때문에 서치하고 패에 잡을수있는 범위 위주로
순수가 아니냐는 소리가 있겠지만 매직 비스트 자체가 그냥 엔디미온 테마라고 생각해도 될수준이다.
대다수 투입은 마스터 케로베로스, 킹자칼, 가루다 이런식으로 투입하며 2-2-1, 3-2-1, 2-3-1 형식으로 투입한다.
매직부스트는 취향으로 1~3장인데 효과 자체가 마력카운터 쌓기 좋아서 1장은 들어가는게 좋음
중요한 마법카드 목록
3장 투입 마력통할 갑부 고블린 : 서치와 부족한 드로우를 보충해줌
2장 마력장악(취향) 마력통활과 연계되긴 하지만 무언가 부족한 카드 투입하는사람도 있고 투입안하는 사람도 있음
테라포밍(필수)
현재 넣는 범용 카드 및 사이드
골렘 아루루 - 1~2장 투입
지명자 시리즈 - 무덤, 말살 둘다 투입 가능
초융합- 현재 메타상 사이드 예상
카이쿠- 애도 메타상 사이드행
판타즈메이- 2~3장 투입 부족한 패순환과 드로우 7축
판크라톱스 - 2장 사이드행 후공 돌파 최강 7축
골렘 아루루
현재 위치크래프트가 만들어낸 가장 오버밸런스인 카드라고 생각
이 카드명의 ①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①: 이 카드가 패에 존재하고, 자신 필드의 마법사족 몬스터가 상대의 효과의 대상이 되었을 때, 또는 상대 몬스터의 공격 대상으로 선택되었을 때, 상대 필드의 카드 1장 또는 자신의 묘지의 "위치크래프트" 마법 카드 1장을 대상으로 하여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특수 소환하고, 그 카드를 주인의 패로 되돌린다.
②: 상대 스텐바이 페이즈에 발동한다. 이 카드를 주인의 패로 되돌린다.
이러한 미친듯한 효과를 가지고 있으며 카드 효과로 반짝하자마자 바로 바운스를 시켜줄수있으며 상대가 이카드를 견제하지 않으면 무한 반복이 되는 카드
카구야 임프레스 엔디미온이 서치범위에 들어가는 덕분에 투입하는 카드 2장정도 투입
패트랩은 알아서 투입
엑스트라 덱
가장 많이 사용하는 링크
펜듈럼 테마면 필수인 헤비메탈포제
요번 신규 링크인 마도요사 샤이닝 브레이커
트로이메어 카드
거의 2링 위주로 굴려가는 테마이기도 하다 .
맨위 오른쪽 엑시즈 7축 계열
상대 카드 가져오는 빅아이
고링크를 책임지는 토마호크 등
고링크 카드군
카오스 솔져
토마호크로 뽑는 3소재 아폴로우사
초융합 카드 계열
이제부터 현재 투입하는 메인카드 계열
마도 부스터 투입
장점: 부족한 드로우 마력카운터를 보충해준다.
단점: 패말림이 생길수있음 펜듈럼족이라 루드라의 마도서 발동하면 제물만 받혀진다. 드로우가 안되기 때문
마술사 계열 (펜듈럼 축)
많이 안굴려 봤지만 장점은 펜듈럼 -마법사족이라는 장점으로 뭉치게 할수있음
단점은 술사는 술사끼리 놀고 엔디미온은 펜듈럼 소환을 잘안하는 덱이기도 해서
좀 꼬이는 문제로 사람들이 잘안하는거 같음 아스트로 같이 초범용 카드계열은 투입하는 위주가 많음
섬도 계열
섬도가 마법을 사용한다
엑덱이 넓은 덱이다
형식으로 사용됨 하지만 필드에 카드가 나와있으면 섬도 마법이나 몬스터를 제대로 활용못하니 선턴에 잡고 사용하는 전제가 계속 깔리게 되서 투입이 적은편
소환수 투입형
남는 일소권 좋은 속성 범위
마법카드 사용
남는 엑덱등으로 투입하는 계열이 존재 하지만 단점은
엔디미온의 필드 마법의존도가 높아서 필드마법 엔디미온이 깔려있는 기준에서 필드마법을 드로우하고 발동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아서 (치킨게임 같은경우 이때문에 1장만 투입하는 사람들도 있다)
아예 섬도+ 엔디미온 몇장 + 소환수 투입을 하고 엔디미온 필드를 빼고 플레이하는 경우가 있다.
대략 이정도가 현재 엔디미온이 넓게 사용하는 범위
(세피라는 아예 변외덱 수준이라 작성하지 않음)
Q N A
1. 욕졸 VS 욕탐
엑덱을 사용하지 않고 이길수 있는 덱이라는 독특한 구조를 가진 엔디미온이 존재함 그래서 욕졸을 투입하는 경우가 있음
하지만 단점으로 뽑으면 에렉트람이나 상대에 따른 초융합 몬스터가 갈릴수가있음
덱자체가 아무리 엑덱을 안써도 범용으로 1장씩 풀투입한 덱이다보니
욕졸 디메리트와 범용이 무서움 그래서 사람들이 투입을 잘안함 메인덱을 지킬수 있지만 카드겜이 어떻게 될지는 모르는법
그래서 아예 범용이랑 2링 위주로 채운뒤 욕졸을 사용하시는 유저분도 계신다.
욕탐은 역시 메인덱이 갈린다가 너무나도 큰 디메리트 엔디미온이나 매직비스탁 갈려서 게임이 안될수도 있지만 패가 부족한 테마라면 눈물을 흘리며 사용하도록 하자 정 불안하면 투입안하고 피지컬로 뽑아볼수있도록 노력하자
2. 현메타 상성
현 메타는 아직 제대로 두각이 보이지는 않지만 신의 심판이 무제로 풀리며 4월 티어덱들이 많이 피해를 입어서 그아래에 있던 함떡계열덱이 두각을 보여줄수잇다.
일소권이 남아 전광설화, 골렘 아루루, 인조인간 사이코 쇼커등 함정에 강하게 나갈수있는 카드들이 투입 될만하다.
3. 튜너 투입
엔디미온이 현재 싱크로 소환 하리파이버를 뽑기위해서는
그냥 순수 피지컬이나 뵐러 일소등으로 커버할수있다.
그러다 보니 7레벨이라는 어중간한 레벨도 존재하며 싱크로 축을 잘안하게 됨
4. 전개법이 없는 이유
서번트가 잡혀도 패에 마법카드가 없으면 무쓸모하고
패에 마법카드만 잡혀도 무쓸모한 경우가 많다
그래서 크게 전개법이라고 할게 없는 덱이다.
자기가 어떻게 덱을짜냐에 따라 전개가 완전히 달라지기 때문
마지막을 장식하는 엔디미온 최강 팁
12면체 주사위 6개 이상 구입해라
가끔보면 동전이나 토큰으로 커버해도 되지않나 이말 나오겠지만
조금만 굴려봐도 이런필드는 기본적으로 계속 나온다.
무조건 12면체 주사위 구매해라
필드는 가끔 마력카운터 12이상으로 만들어지기 때문
*불펌 금지